딱 1억만 모읍시다 / 김경필

1. 자본소득으로 가는 첫 번째 허들인 ‘1억 원’부터 모으자!
▶소득 형태로 구분하는 새로운 경제 계층
부유층 - 오직 자본소득
중산층 - 근로소득 + 약간의 자본소득
서민층 - 오직 근로소득

중산층이 되기 위한 자본소득의 크기
가구원별 기본생계비
• 1인 가구: 월 133만 7,067원(연 1,604만 4,804원)
• 2인 가구: 월 220만 9,565원(연 2,651만 4,780원)
• 3인 가구: 월 282만 8,794원(연 3,394만 5,528원)
• 4인 가구: 월 343만 7,948원(연 4,125만 5,376원)

중산층이 되기 위한 자산의 크기
기본생계비를 충당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소득
• 1인 가구: 기본생계비 약 1,604만 원÷0.035(세전 이자율 연 3.5%) = 약 4억 5,829만 원
• 2인 가구: 기본생계비 약 2,651만 원÷0.035(세전 이자율 연 3.5%) = 약 7억 5,743만 원
• 3인 가구: 기본생계비 약 3,394만 원÷0.035(세전 이자율 연 3.5%) = 약 9억 6,971만 원
• 4인 가구: 기본생계비 약 4,125만 원÷0.035(세전 이자율 연 3.5%) = 약 11억 7,856만 원

▶월급이 적어도 꼭 1억 원 모으기를 해야 하는 이유
1억원이라는 종잣돈이다.

▶1억 원을 모으고 나면 생기는 5가지 변화
 - 변화 1: 소득이 증가하는 효과가 생긴다
1억 원 예금 시 연 이자(2024년 8월 9일 기준)
1금융권: 세전 이자율 연 3.81%, 세후 연 332만 3,260원
2금융권: 세전 이자율 연 3.95%, 세후 연 334만 1,700원
 - 변화 2: 더 나은 인생을 위한 선택권이 늘어난다
 - 변화 3: 자산 증가에 가속도가 붙는다
자산 증가 걸리는 시간
순자산 0 원 → 1억 원 : 5년 (세전 이자율 3.5%기준)
순자산 1억 원 → 2억 원 : 46개월(세전 이자율 3.5%기준) 14개월단축
순자산 2억 원 → 3억 원 : 42개월(세전 이자율 3.5%기준) 18개월단축
순자산 3억 원 → 4억 원 : 38개월(세전 이자율 3.5%기준) 22개월단축
 - 변화 4: 저축 근력이 커진다
 - 변화 5: 자존감은 높아지고 좌절감은 회복한다

▶1억 원 모으기를 성공하게 만드는 5가지 마인드
 - 마인드 1: 선저축의 마인드- 소비하기 전에 저축을 먼저 한다는 마인드
 - 마인드 2: 증액저축의 마인드- 저축액을 꾸준히 증액하는 마인드
 - 마인드 3: 정기저축의 마인드-강제성을 가지는 정기저축을하는 마인드
 - 마인드 4: 후보상의 마인드-만기시 여행을 떠나는 보상이 있는 마인드
 - 마인드 5: 명확한 목표 마인드-목표가 없으면 재저축아닌 그냥사용된다.

2. 1억 원 모으기를 위해 바꾸어야 할 것들
▶간과하기 쉬운 10가지 과소비를 바로잡아라!
10위: 주3회 이상 점심 외식을 한다.
9위: 주2회 이상 기본요금 거리를 택시로 이용한다.
8위: 하루2잔 이상 브랜드 커피를 테이크아웃한다.
7위: 월 소득의 3% 이상을 한달 이벤트비로 소비한다.
 어버이날, 엄마 생일, 아빠 생일, 연인 또는 배우자 생일, 자녀 생일, 형제 생일, 각종 기념일
6위: 계절이 바꿀때마다 옷을 구매한다.
5위: 월 소득의 10% 이상을 한달 문화레저비로 소비한다.
4위: 월 소득의 30% 이상을 한달 식생활비로 소비한다.
 1인 가구 기준 월 소득 대비 적절한 한 달 식생활비
 • 월 소득 300만 원 미만: 월 소득의 30% 미만
 • 월 소득 300~500만 원 미만: 월 소득의 25% 미만
 • 월 소득 500~800만 원 미만: 월 소득의 20% 미만
3위: 월 소득의 15% 이상을 한달 주거비로 소비한다.(월세나 전세자금대출 이자등)
2위: 연봉의 5% 이상을 연간 여행비로 소비한다.
1위: 6개월 치 월 소득 이상을 차값에 소비한다.
 차 구매 시 필수적으로 소비하게 되는 12가지 비용
 • 3료: 보험료, 통행료, 과태료(범칙금)
 • 7비: 주유비, 주차비, 세차비, 수리비, 발렛비, 대리비, 감가비
 • 2금: 세금, 차 할부금
 월 소득 500만 원인 직장인이라면 사실 고소득자이므로,
 월 소득 300만 원인 직장인이 2,000만 원짜리 차를 5년 무이자 할부로 구매했을 때 월 비용
 • 유지비: 2,000만 원×1.5%=30만 원
 • 감가비: 2,000만 원×1%=20만 원
 • 할부비: 2,000만 원÷60개월=33만 원
 합계: 월 83만 원(월 소득의 약 27.7%)

▶10가지 과소비를 안 해도 1억 원 모으기를 실패하는 이유
 - 실패 이유 1: 반려동물을 키운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일은 자녀를 1명 낳아서 키우는 일과 맞먹는 ‘무한한 책임감’이 동반되어야 함을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 실패 이유 2: 가족에게 과도한 경제적 지원을 한다.
경제적 지원이 꼭 필요하시지 않은데도 과하게 돈을 드린다면 이는 잘못된 소비다.
이와 달리 형제, 자매, 조카 용돈은 정기적으로 주기보다는 비정기적으로 주는 게 좋다.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안다’라는 말처럼 효과가 반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실패 이유 3: 과도한 금액의 기부금과 헌금을 납부한다.
기부금과 헌금을 내는데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
그런 모습을 보면 이런 행위가 정말 의미 있는지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바로잡아야 하는 4가지 잘못된 경제 개념
 -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노후=재테크 성공’이란 공식보다는
은퇴 이후에도 일을 할 수 있게 건강한 사회활동을 연장할 수 있다면 경제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여가생활에만 사용하는 시간이 줄게 되니 생활비의 증가도 막을 수 있다.
재테크보다 더 중요한 필수 조건이 될 것이다.
건강한 사회활동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돈, 건강, 외로움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 자영업자의 진짜 수익은 매출에서 비용을 뺀것이 모두 순수익이 아니다.
매출에서 임대료, 인건비, 재료값, 각종 공과금 등과 같은 비용뿐만 아니라 투자금을 제한 게 순수익이다.
또한 최소 20% 정도는 사업 유지를 위해 재투자해야해서 빼야한다.
 - 올바른 분산 투자 방식은 전략적 자산 배분과 전술적 자산 배분 모두를 실천하는 것이다.
• 전략적 자산 배분: 안전자산(예금)과 위험자산(주식)에 분산 투자
• 전술적 자산 배분: 위험자산(주식)에 투자하되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
전략적 자산 배분과 전술적 자산 배분 모두를 실천한다면 진정한 분산 투자라고 할 수 있다.
1억 원 중 8,000만 원은 예금하고, 나머지 2,000만 원은 주식에 투자하되 여러 종목에 분산해서 투자하는 방법이다.
 - 월급은 지금의 나와 미래의 내가 함께 사용해야 하는 공금이다.
월급이란 지금의 나뿐만 아니라 미래의 나와 나누어서 사용해야 하는 공금이기 때문이다.
월급을 전부 사용한다면 돈, 젊음, 건강, 능력 모두 남지 않은 미래의 나는 후회를 할것이다.

▶돈을 모으지 못하도록 만드는 10가지 말버릇
 - 잘못된 말버릇 1: 고생한 나에게 보상해야 돼
 - 잘못된 말버릇 2: 지금 아니면 언제 해보겠어
 - 잘못된 말버릇 3: 인생은 단 한번뿐이다
 - 잘못된 말버릇 4: 인생 뭐 있나
 - 잘못된 말버릇 5: 큰맘 먹고 구매한다. 이럴때 결제 3심 제도를 거칠길 추천한다.
1심: 정말 필요한 소비인가? → 2심: 이번 달 예산은 있는가? → 3심: 대체재는 없는가?
 - 잘못된 말버릇 6: 이건 안 사면 손해다
 - 잘못된 말버릇 7: 이거 하나만큼은 좋은걸로
 - 잘못된 말버릇 8: 인생에서 단 한번뿐인데
 - 잘못된 말버릇 9: 내가 이거 하려고 돈 벌지
 - 잘못된 말버릇 10: 내가 이것 하나도 못 하나

▶주식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착각
주식 투자로 돈을 벌지언정, 더 가치 있는 것을 잃어버릴수 있다.
장기 투자가 주식 투자의 성공을 보장하는게 아니다.
주가 예측은 불가능하다.
이제 새롭게 돈을 모아가는 사람이라면 불확실 속에 있는 작은 가능성에 주목하기보다
가장 확실한 디딤돌이 되는 1억원 모으기를 먼저 선택하길 바란다.

3. 따라만 하면 성공하는 1억 원 모으기 핵심 방법
▶소득이 낮아도 가능한 1억 원 모으기
130만 5천원부터 시작하는 증액저축 플랜, 세전 이자율 연 4% 기준
매년 13만 원씩 증액하는 방식은 매년 소득이 10%씩 증가한 금액으로 저축한다.

구분1년차2년차3년차4년차5년차
월 저축액130만5천원143만5천원156만5천원169만5천원182만5천원
1번 적금(월130만5천/3년+예금2년) 1,595만원3,242만원4,943만원5,110만원5,278만원
2번 적금(130만5천/2년) ---1,595만원3,242만원
1번 증액(월13만/3년+예금1년) -159만원323만원492만원509만원
2번 증액(월13만/3년) --159만원323만원492만원
3번 증액(월13만/2년) ---159만원323만원
4번 증액(월13만/1년) ----159만원
합계1,595만원3,401만원5,425만원7,679만원1억원
적금예금

▶월 소득 200만 원대도 1억 원 모으기가 가능할까요?
청년도약계좌란
은행별 우대금리와 비과세 혜택(이자소득세 15.4% 면제), 그리고 정부 지원금(연 소득에 따라 상이)까지 받아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만들 수 있는 정책 금융 상품이다.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율이 최대 연 6%(기본금리 연 3.8~4.5%,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 이후 2년간 변동금리)로,
월 최대 2만 4,000원(소득 구간별로 상이)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청년도약계좌의 여러 혜택을 활용하면서 매년 딱 10만 원씩만 증액저축하면 된다.
청년도약계좌와 증액저축 플랜, 청년도약계좌 외 예적금 세전 이자율 연 4%대 기준

구분1년차2년차3년차4년차5년차6년차7년차
월 저축액95만원105만원115만원125만원135만원145만원155만원
청년도약계좌70만원70만원70만원70만원70만원--
적금25만원35만원45만원55만원65만원145만원155만원
합계1,160만원2,482만원3,967만원5,622만원7,890만원9,902만원1억2,101만원

▶대한민국 직장인의 5개년 저축 로드맵 만들기
위 130만 5천원부터 시작하는 증액저축 플랜과 같음

▶1억 원 모으기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금융 상품
 - 예금
가입 기간 내에 1회만 불입하며 추후 이자까지 더한 만기액을 수령한다.
이자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 15.4%(소득세 14%, 지방 소득세 1.4%)를 차감하고 수령한다.
통장 분배 가이드
• 월 소득의 100% → 계절 지출 통장(파킹 통장 또는 CMA)
• 월 소득의 50% → 경조사 또는 긴급 지출을 위한 예비 자금 통장(파킹 통장 또는 CMA)
• 그 외 모든 자금 → 1금융권 또는 2금융권 고금리 예금
 - 적금
매달 일정액을 불입해서 만기 시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금융 상품을 말한다.
이자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 15.4%(소득세 14%, 지방 소득세 1.4%)를 차감하고 수령한다.
적금 방식은 무조건 정기적금을 권한다.
 - ISA
하나의 통장으로 예금, 적금, 주식, 펀드, ELS(주가 연계 증권) 등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다.
이자에 대해서는 이자소득세 15.4%(소득세 14%, 지방 소득세 1.4%)를 면제한다.
3년 정도는 ISA를 이용해서 최대 400만 원 비과세와 저율 분리 과세 효과를 누리는 게 유리하다.
단, 유지 의무 기간과 원금 손실 발생 가능성 등 여러 단점이 있다.
 -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 청년이 최대 월 70만 원 한도로 저축하면 은행의 우대금리,
매달 최대 2만 4,000원의 정부기여금, 이자소득세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아
5년 뒤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하게 해주는 정책 금융 상품이다.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최대 월 2만 4,000원의 정부기여금, 은행별 우대금리까지 더해진다.
 -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대상은 만 65세 이상자, 장애인, 독립유공자, 독립유공자와 그 유족 또는 가족, 국가유공상이자, 기초생활수급자, 고엽제후유의증환자, 5·18민주화운동부상자다.
저축 한도는 총 5,000만 원이며, 이는 전체 금융 기관 통합 한도다. 2025년 12월 31일까지만 가입이 가능하다.
 - 예적금 상품 고르기
참고할 만한 유용한 사이트를 소개한다.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finlife.fss.or.kr)

▶적은 월급에도 1억 원을 모은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1억 원을 모은 사람들의 공통점
 - 숫자로 표시한 분명한 목표가 있다.
1억 원을 모으겠다는 목표를 분명히 할 수만 있다면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다. 처음에는 금액 자체가 목적이고 목표다.
 - 선저축을 한다.
 - 가계부를 쓴다.
<가계부 작성 기본 원칙>
1일 기록 – 단순 지출 항목과 금액, 지출의 원인
주간 리뷰 – 소비 항목별 금액, 현재 예산 대비 소진 비율
월간 리뷰 – 소비 항목별 금액, 월간 예산 대비 소진 비율
 - 증액저축을 한다.
 - 계절 지출 통장과 셀프 리워드 계획을 만든다.
계절 지출 통장이란 매달 나가는 돈은 아니지만 비정기적으로(계절 단위로) 나가는 비용을 따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통장이다.
 - 월급을 공금이라 생각한다.
월급은 미래의 나와 나누어쓰는 돈이다.

-

'지식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1억 짠테크  (0) 2025.03.31
경제가 쉬원지는 습관  (0) 2025.03.31
왜 일하는가  (0) 2025.02.25
잘쓰기위한 재테크  (0) 2025.01.30
독서 천재가 된 홍대리  (0) 2018.12.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