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방을 통한 금현물, 골드바 구입(비추)
- 가장 기초적이고 원시적인 방법으로 비추함,
쌀것 같지만 시세 비교도 해야하고 골드바는 세공비,세금,수수료등이 발생해 저렴하지 않음
실물투자의 경우 부가가치세가 10% 에 공임비가 3~5%까지 나오고 매도를 할때는 순수하게 금값만 받아서 공임비를 못 받음.
     국내 및 해외 금 ETF 투자(추천)
- 가장 추천하는 금 투장 방법,
거래량 많은곳
KODEX골드선물H - 삼성자산, 환율영향 없이 금 본연의 값을 따라가도록함
킨텍스골드선물레버레지합성H - 한국투자신탁. 2배로 변한다.외국에운영함.
KODEX골드선물인버스H - 삼성자산. 금값이랑 반대로 움직임
국내 ETF보다는 미국증시에 있는 금 ETF 추천,
유명한 상품으로는 GLD와IAU로 IAU 더 추천
ETF는 배당소득세 15.4% 과세를 받게되고
해외거래는 양도소득세 22% 발생함
인덱스, 인버스의 차이가 뭔지 모른다면 절대 투자하지 말아야 한다.
     국내 및 해외 금 관련주 투자하기(중립)
- 금 ETF와 달리 개별 기업에 투자하는것,
금 관련 산업을 영위하는 회사의 주식을 사면됨,
근데 생각보다 이런 회사가 많이 없어서 비추함
     시중은행 금통장(골드뱅킹) 상품 가입(비추)
- 국민,우리,신한,하나 등 메이저은행마다 금통장 상품을 다 보유하고 있음,
금통장에 입금하면 자동으로 금시세와 연동 후 금 무게로 환산하여 그만큼의 금을 적립시켜준다.
매수/매도시 수수료1%가 발생함.수수료가 비싼편이라 변로인듯
차익이 생겼을때 15.4%라는 과세가 붙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나 보관을 하는 용도로는 적합하겠지만 수익을 실현시키기에는 어렵다고 볼수 있다.
     금 펀드 가입을 통한 투자하기(중립)
- 금 ETF나 금 관련주식 투자와 거의 비슷한데 주로 금을 캐는 금광업 회사로 이뤄진 경우가 많다.
수수료가 비싼편이며 매도를 하는 시간이 걸리며, 수익의 15.4%를 세금으로 뱉어내야 해서 금 투자 방법으로 합리적으로 볼수 없다.
     KRX 금시장을 통한 금 현물 거래(추천)
- 1번과 마찬가지로 현물거래긴한테 한국거래소에 운영하는 좀더 공인된 시장 느낌,
수수료가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실물로 인출하려면 10% 부가세를 내야해서 이것도 솔직힘 추천은 노노
KRX 금현물 개요
- 정부(한국거래소)에서 운영
- 낮은 수수료 : 0.3%
- 손쉽게 구매:증권사 이용
- 비과세

 

출처 : 한 번 배워서 써먹는 박곰희 투자법

'지식 > 財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0) 2022.01.28
재테크  (0) 2022.01.28
2부. 자산배분투자  (0) 2021.12.23
연금저축  (0) 2021.12.08
ISA 계좌  (0) 2021.12.08

+ Recent posts